데이터구조(3)
-
파이썬 기초 강좌: 딕셔너리(Dictionary)
딕셔너리는 파이썬에서 매우 유용한 자료 구조입니다. 키-값 쌍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에 효율적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딕셔너리의 생성, 접근, 추가, 삭제, 딕셔너리 메서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1. 딕셔너리 생성하기 딕셔너리를 생성할 때 키와 값의 쌍을 정의하여 중괄호({}) 안에 넣어줍니다. 이때 각 키와 값은 쉼표(,)로 구분합니다. # 딕셔너리 생성하기 my_dict = {"apple": 3, "banana": 2, "orange": 5} 2. 딕셔너리 값 접근하기 딕셔너리의 특정 키에 해당하는 값을 얻으려면 해당 키를 사용하여 접근합니다. # 딕셔너리 값 접근하기 print(my_dict["apple"]) # 출력: 3 3. 딕셔너리 값 추가하기 새로운 키-값 쌍을 ..
2024.04.07 -
파이썬 기초 강좌: 튜플(Tuple)
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수정할 수 없는 데이터 구조입니다. 한 번 생성하면 내용을 변경할 수 없으며, 리스트와 달리 소괄호로 둘러싸여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튜플의 생성, 접근, 튜플 언패킹, 튜플의 불변성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튜플 생성하기 튜플은 소괄호 안에 쉼표(,)로 구분된 값들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. # 튜플 생성하기 my_tuple = (1, 2, 3, 4, 5) 2. 튜플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튜플은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인덱스를 사용하여 각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# 튜플 인덱싱 print(my_tuple[0]) # 첫 번째 요소 출력 # 튜플 슬라이싱 print(my_tuple[1:3]) # 두 번째부터 세 번째 요소까지 출력 3. 튜플 언패킹 튜플 언패킹을 사용하여..
2024.04.07 -
파이썬 기초 강좌: 리스트(List)
리스트는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 중 하나입니다. 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모음이며, 여러 가지 타입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스트의 생성, 접근, 추가, 삭제, 슬라이싱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리스트 생성하기 리스트는 대괄호([]) 안에 원하는 데이터를 쉼표(,)로 구분하여 나열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. # 리스트 생성하기 my_list = [1, 2, 3, 4, 5] 2.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는 인덱스를 사용하여 각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, 음수 인덱스는 리스트의 끝에서부터 역순으로 접근합니다. 슬라이싱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일부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. # 리스트 인덱싱 print(my_list[0])..
2024.04.07